Process와 Thread

Process 란

일반적으로 Process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상태라고도 하고,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그렇다면 실행중이라는 상태는 구체적으로 어떤 모양일까?


프로그램은 디스크에 저장된 정적 데이터와 코드의 모임일 뿐이다.

프로그램이 프로세스로 실행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의 코드와 정적 데이터를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Code와 Data 영역)에 적재한다.
  2. main함수를 찾아 CPU의 PC(Program Counter) 레지스터에 실행할 코드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한다.
  3. 프로그램 실행 시 입력했던 Argument와 함께 Stack 영역을 구성한다.
  4. 프로세스가 사용할 Heap영역의 메모리를 할당한다.(Heap 영역은 동적 할당을 위해 사용된다.)
  5. PC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명령를 실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읽어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6. 레지스터에 저장한 값을 읽어 ALU가 명령에 따라 계산하고, 이 값을 다시 결과값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7. 레지스터에 저장된 결과값을 다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8. PC 레지스터의 값을 증가시켜 다음 명령을 실행할 준비를 한다.
  9. (5)~(8)이 반복되며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이런식으로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즉, Process란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던 코드뭉치를 메모리에 적재하여 실행 가능하게 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Context Switch

일반적으로 OS는 마치 CPU 여러대가 있는 것처럼 착각할 수 있도록, 시분할 기법을 사용하여 프로세스들을 실행시켜준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가 3개 있다고 했을 때, 1번을 아주 조~금 실행한 후, 2번을 아주 조~금 실행한 후,

3번을 아주 조~금 실행하는 방식을 통해 모든 프로세스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처럼 느끼게 해준다.

(어떤 순서로 돌아가며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지는 스케줄러 정책에 따라 다르다.)

마치 CPU가 여러대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것인데, 이렇게 하기 위해선 Context Switch가 반드시 필요하다.


Context란 아주 간단하다. Process가 실행되던 그 상황을 의미한다.

1번 프로세스를 그 상황 그대로 멈추게 한 후, 마찬가지로 멈춰 있던 2번 프로세스를 실행시켜줘야 하고,

다시 1번 프로세스를 실행할 시간이 되면 멈췄던 그 상황 그대로 되살려서 실행해야 한다.


그렇다면 그 ‘상황’(Context)는 어떻게 저장할까?

위에서 설명한 Process를 통해 유추해볼 수 있는데,

프로세스가 사용하던 Memory 주소와 레지스터값들을 저장하면 된다!

(Memory 주소를 저장하는 이유는 메모리 가상화와 관련된 내용인데 지금은 다루지 않겠다.)

(이 외에도 pid, process state, open files 등 저장할 값들이 있지만 생략하겠다. )


그 상황에 사용하던 레지스터 값(PC를 포함한)들을 다시 CPU의 레지스터에 올리게 되면,

다시 PC에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읽어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정지되었던 그 상황에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런 context를 저장하는 구조체를 PCB(Process Control Block) 이라고 하는데,

실행중인 Process의 PCB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다음 실행할 Process의 PCB를

메모리에서 읽어(CPU 레지스터에 올려) 실행하는 것을 Context Switch라고 한다.

(User mode, kernel mode 간의 switch 등 많은 과정이 생략되었으니, 자세히 알고 싶으면 관련 내용을 찾아보기 바란다.)


Thread 란

Thread는 Process에 종속된 개념으로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Process가 실행될 때 main함수를 찾아 PC에 저장해주고 Stack 프레임을 구성해준다고 했는데,

이것은 프로세스의 시작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메인 쓰레드의 시작이라고 할 수도 있다.


쓰레드는 각각 레지스터 셋(PC를 포함한)과 Stack프레임을 갖고 있어서,

한 프로세스이지만 각각의 쓰레드가 독립적으로 명령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게 해준다.


어? 위에서 설명한 Context Switch를 보면, 레지스터 셋은 Context고 이걸 각각 갖고 있으면 Process가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같은 Process의 쓰레드는 메모리 공간을 공유한다는 것이다.

쓰레드는 레지스터셋과 Stack프레임을 각각 갖고 있지만, 프로세스의 Code, Data, Heap 메모리 공간을 공유한다.


따라서 쓰레드간의 Context switch에서는 쓰레드가 사용할 메모리 주소값을 교체할 필요가 없고,

레지스터 값과 Stack Pointer만 교체하면 되므로 Context Switch의 오버헤드가 프로세스보다 훨씬 적다.

뿐만 아니라, Data나 Heap 영역을 공유하므로 쓰레드 간의 데이터 공유도 가능하다.

Process끼리는 Memory Protection 정책에 의해 같은 메모리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Process끼리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으로만 통신 가능


요약 (Process vs Thread)

프로세스: 운영체제로부터 메모리를 할당받아 실행할 수 있게된 작업의 단위 (메모리에 올라간 프로그램)

스레드: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메모리를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독립적인 실행 흐름)


Thread의 장점:

  • 쓰레드 간의 Context Switching이 프로세스 간의 Context Switching보다 빠르다.
  • Stack을 제외한 메모리 자원을 공유하고 있어서, 쓰레드 간의 통신이 프로세스 간의 통신보다 쉽다.

Thread의 단점:

  • Process의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쓰레드 중 하나에 문제만 생겨도 Process가 종료되고, 따라서 전체 쓰레드도 종료된다.

    ※ 자바에서는 메인 쓰레드가 종료되어도 돌고 있는 쓰레드가 있으면 Process가 종료되지 않는다.

    ​ 즉, 모든 쓰레드가 종료되어야 Process가 종료되기 때문에 쓰레드 중 하나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쓰레드는 잘 돌아간다.

    ​ (정확히는 데몬 쓰레드를 제외한 일반 쓰레드 모두가 종료되어야 Process가 종료된다.)


  • Stack을 제외한 메모리 자원을 공유하고 있어서, 프로그램 설계와 디버깅이 어렵다.

    (동시에 같은 변수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동기화(Synchronization), 교착상태(deadlock)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